이력서 작성을 한참 미루다가 드디어 임윤님께 보내드렸더니
경력에 영상 쪽 일이 많아서 자칫 영상 전문으로 보일 수 있으니 유의하라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.
그동안 임윤님이 여러번 얘기 하셨지만
이력서 쓰면서 제 경험을 되새겨 보니 정말
영상자막 번역은 목표가 돈이라면 하지 않는 게 맞습니다 여러분...
저는 처음에 재미있겠지 하는 생각 + 돈이 급해서 당장 들어오는 일을 하자 하고 했었는데
한국 회사와만 일해봤지만 최저 분당 2500원 받았습니다.
60분 프로그램 1회에 15만원이고
10분 분량 자막을 만드는 데 1시간 걸렸습니다.
(이것도 소프트웨어, 의뢰인 가이드라인에 익숙해졌을 때 이야기고요)
노동시간 1시간에 겨우겨우 2.5만원 버는 셈이죠 ㅜㅜ
이걸 계산하고 보니 도저히 동기부여가 되지 않고 대충해서 빨리 쳐내게 되더군요
게다가 자막은 공간의 제약도 있기 때문에 창의력도 필요하고
음성만 자막으로 옮기는 게 아니라 스크린에 뜨는 한글 자막, 카톡 대화....
사실 만족스러운 번역을 하자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더라구요
아무튼 영상 쪽이 단가 낮다 낮다 하는데
얼마나 낮은지를 직접 보여드리고자ㅋㅋㅋㅋㅜㅜ
다른 대원님들은 저처럼 마구 구르다가 몸 상하지 않으셨으면 하는 마음에 올려봅니다!
저는 예전에 취미로(?) 덕질로(?) 자막 번역을 좀 했는데, 덕질이지만 너무 힘들었어요....ㅜㅜ 그래서 하다가 말았습니다... 덕심으로도 힘들더라구요...!